태그 : Abenomics 요약보기전체보기목록닫기

1

[2013.12] 일본 평균임금 변화의 추이

블로그에서 아베노믹스와 관련된 포스팅을 진행하면서, 아베노믹스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지표중의 하나가 일본의 임금상승이라고 본문과 리플에서 답변을 드린적이 있습니다. 임금 인상이야 말로 일본이 디플레이션으로부터 탈출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이 강하게 내재화 되었다는걸 보여주는 거니까요. 그리고 이에 대해 아베 총리가...

버블-디플레 기간 일본의 금융정책 - ⑥ 장기정체기의 교훈과 결론

오늘로 설 연휴도 아쉽지만 끝나는군요. 무사히 귀가하시고 내일 부터는 다시 활기찬 일상으로 복귀하시기 바라면서 저도 아베노믹스의 브레인 하마다 고이치 교수와 일본 리플레이션파의 최고참 오카다 야스시 교수가 공동으로 작성한 논문의 번역을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버블-디플레 기간 일본의 금융정책 - ① 서론 및 장기정체기의 관찰''버블-디플레 기간 일본...

버블-디플레 기간 일본의 금융정책 - ⑤ 버블 붕괴와 디플레이션의 시작

이전에 작성했던 포스팅'버블-디플레 기간 일본의 금융정책 - ①서론 및 장기정체기의 관찰' '버블-디플레 기간 일본의 금융정책 - ② 디플레이션과 유동성 함정' '버블-디플레 기간 일본의 금융정책 - ③ 개방경제에서 환율의 의미''버블-디플레 기간 일본의 금융정책 - ④ 엔고가 유익하다고 착각한 이유'에 이어서 이번에는 일본의...

[링크] "임금 서프라이즈"가 출현하는 일본 - 아베 신조

예전에 작성했던 포스팅 '아베노믹스에 대한 짤막한 보충'에서 일본 처럼 유동성 함정에 빠진 상황에서는 특이하고 어찌보면 직관에 반하는 경제적 처방 - 재정확대, 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목표 상승, 일본 정부는 아예 기업에 대놓고 임금 인상을 종용 등등 - 이 나오게 된다고 간단히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사실 임금 인상이야 말로 일본 경제에...
1


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