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4/20 23:18

3식 함상전투기의 경쟁 시작기들의 모습은? 日 해군 전투기 개발사


이전에 작성했던 포스팅'3식 함상전투기(三式艦上戰鬪機), 경쟁시작(競爭試作)을 통해 태어나다'에서 저도 좀 알아보고 싶었던 부분이 일본 해군에서 제시한 신형 전투기의 요구 사항 이었던 "비상 착수시 7시간 이상 떠있는 것이 가능할 것" 이라는 재미있는 조건을 상대적으로 충실하게 반영하고자 했던 아이치(愛知)와 미츠비시(三菱)의 경쟁 시작기가 과연 어떤한 모습이었을까? 였습니다. 다행히 최근에 이 두 시제 함상전투기의 모습을 조금 더 정확히 알게되어서 간단히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그럼 관심있으신 분들은 이어지는 내용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치(愛知) - H식 함상전투기



1926년 일본해군은 10년식 함상전투기의 후속 신형 함상전투기의 채택을 위해 아이치(愛知), 나카지마(中島), 미츠비시(三菱) 3사에 시험제작기를 발주했다. 시작전투기에 요구되는 각종 성능은 동년 4월 21일 함정본부장(艦政本部長)의 명의로 각사에 교부되었다.

당시 아이치(愛知) 시계전기는 독일 하인켈에 설계를 위탁하여 'HD23' 함상전투기를 시험제작할 수 있었고, 이 하인켈사 설계의 함상전투기는 'H식 함상전투기'로 불리워졌다. 미츠비시, 나카지마의 경쟁시작기 보다 일본 해군에서 요구했던 해상 비상착륙 성능을 중요시한 설계로, 수면 활주에 대비한 V자 모양의 바닥을 지닌 수밀구조의 동체, 하익(下翼) 전면부의 수밀구조화, 수면착수의 충격에 대비한 프로펠러 수평위치 고정장치 등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불시 착수 대응을 위한 각종 장비들은 중량을 증가시켜 비행성능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었고, 결국 이 기체는 채용되지 않았다.


비행정과 같은 외관을 지닌 아이치의 H식 함상전투기



미츠비시(三菱) - 타카(鷹, 매)형 전투기



역시 10년식 함상전투기의 후속 함상전투기 제작을 위해 미츠비시는 자사 히(ヒ)식 - 이스파노-수이자 계통의 수냉식 엔진 - 450마력 엔진을 장비한 복엽전투기 2기를 제작하였는데, 전체적으로 자사의 10년식 함상전투기의 발전 개량형에 가까운 모습이었다. 미츠비시 사내에서는 이를 '타카(鷹, 매)형 전투기'로 호칭했다.


미츠비시의 히(ヒ)식 450마력 수냉식 엔진


제 1호기는 1927년 7월, 제 2호기는 동년 9월 일본 해군에 납입 되었다. 해군이 요구한 요구 사항인 불시 착수성능에 충실히 대응하기 위해 미츠비시도 수밀구조의 동체 및 하익(下翼) 전면부, 투하가능한 고정식 랜딩기어, 연료방출이 가능한 탱크 등을 장비 하였으나, 역시 중량이 더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1호기는 착륙 속도를 낮추기 위해 플랩을 장비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미츠비시가 제작한 기체는 나카지마의 경쟁기(후의 3식 함상전투기)와 비교할 때 자중이 250kg이 더 나가는 둔중한 기체가 되었다. 불시착수 성능을 요구 조건보다 간략화한 나카지마의 승리 이후 미츠비시가 다시 '함상 전투기의 메카'라는 지위를 회복하는 것은 3식, 90식, 95식 함상전투기 3세대가 지나고 나서의 일이다.


[참고문헌]

学習研究社編集部 (2010), "決定版, 日本の空母搭載機", 歴史群像シリーズ 太平洋戦史スペシャル6, p. 58.

松岡久光 (2005), "三菱航空エンジン史 - 大正六年より終戦まで 1915‐1945", 三樹書房, p. 17.


덧글

  • 곰늑대 2013/04/20 23:54 # 답글

    오르카님 제가 오늘 사카에 엔진이 100옥탄가의 연료를 이용해 2000마력을 냈었다는 주장을 들었는데...저도 항덕질 하면서 이책저책 한참 찾아봤습니다만 호마레를 재정비해서 100옥탄 연료를 멓넜더니 200마력 가량의 출력이 더 나왔다는 이야기는 들어봤어도 출력이 두배가 됐다는 이야기는 본적이 없거든요
    혹시 관련 자료라든가 이야기라든가 아시는 것이 있나요
  • Orca 2013/04/21 00:04 #

    머 저도 전문가는 아니지만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되는 주장으로 보이네요.

    옥탄가라는게 그 연료가 연소될 때의 에너지가 더 많다는 뜻도 아니고, 사카에 엔진이란게 옥탄가 92, 후에는 95의 연료를 표준으로 장비하게 설계된 물건이라서요.

    정확한 답이 되지는 않겠지만 일단 제가 예전에 작성한 아래 링크라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혹시 보시고 궁금하신 점 남겨주시면 저도 찾을 수 있는 부분은 찾아보겠습니다.

    http://note100.tistory.com/239
  • 2013/04/21 01:03 # 삭제

    마법사 냥반한테 낚인겁니다 전전에 2000마력 엔진을 만들었던 국가가 어딘지 반대로 물어보시죠. 그리고 일본에 그런 엔진이 있음 제로센이 무장갑에 바보구멍은 왜뚫었는지도요
  • 포크의 헉헉 2013/04/21 01:05 #

    옥탄가가 높다고 해서 출력이 마구 늘어나는게 아닙니다. 옥탄가는 노킹이랑 관련된 문제인데 그게 높다고 출력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죠. 물론 해당 엔진에 안맞는 옥탄가 연료를 집어넣으면 출력이 떨어질수는 있는데 그 부분은 상관없는 이야기
  • 곰늑대 2013/04/21 01:16 #

    옥탄가와 엔진의 관계에 대해서는 대강 알고 있는데 저딴 드립을 치니 혹시 이탈라아마냥 사카에 텐덤이라도 았는서 아닌가 싶어서맄ㅋㅋㅋ
  • kuks 2013/04/21 01:56 #

  • 2013/04/21 01:11 # 삭제 답글

    제공호에다 jp8 넣는다고 f16이 되는건 아닌데 평행세계에선 가능할지도...
  • ㅇㅇ 2013/05/12 20:44 # 삭제

    원래 제공호에 jp8넣는데 뭔소리?
  • 2013/04/21 19:51 #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13/04/21 20:02 # 비공개

    비공개 답글입니다.
  • preparaty na powięks 2022/09/16 00:09 # 삭제 답글

    나는 당신의 게시물을 읽고 기쁘게 생각합니다
  • usługa copywriterska 2022/09/16 20:28 # 삭제 답글

    이 게시물이 마음에 듭니다. 더 자주 게시하십시오.
댓글 입력 영역


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