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9/16 01:14

박격포(迫撃砲), 그 명칭의 유래는? Military History


머리로 맛보는 일품 영국맛 'The Stokes Mortar' 에 트랙백

하도 폭풍같은 스피드로 포스팅을 하셔서 저같은 사람은 진도 맞추기가 힘든 토나이투 님의 글에 편승해서 오늘은 무기 체계가 아닌 말 그대로 박.격.포. 한문으로는 迫.撃.砲. 의 명칭이 어디서 유래했는지 간단히 알아보는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정답을 공개하고 시작하면 아래의 물건이 최초로 박격포(迫撃砲) 라는 이름이 붙은 무기입니다. 좀 허술하게 생겼죠?


자 그럼 이런 물건이 어떻게 나오게 됬는지 조금만 더 앞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이야기를 해봅시다.

화포는 개발 초창기 부터 상대방의 성벽을 파괴하는데 사용되었고 15세기 중반부터는 슬슬 Mortar 라는 명칭이 나오게 됩니다. 이는 좀 창의성이 없어 보이기는 해도 꽤 직관적인 명칭이었습니다. 당시 청동으로 만든 이 공성용 포들은 그야말로 절구통과 같은 모양이었고 이는 그대로 그들의 명칭이 된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Mortar - 절구 - 를 그대로 직역해서 절구 구(臼) 자를 쓴 용어가 바로 구포(臼砲)로 번역되어 사용되었습니다.

15세기의 청동제 구포(臼砲), 명칭에 이의를 달 사람은 없을 듯


자 그런데 이 무식한 청동제 물건은 딱 보기에도 무거워 보이지 않습니까? 이의 운반은 정말 고되고 힘든 일이었으며, 세월이 지나자 작렬탄(shell)도 사용할 수 있게 된 꽤 유용한 이 무기는 기동성의 결여로 야전에서 사용하기는 여전히 무리인 물건이었습니다. 하지만 궁하면 누군가가 통하는 방법을 만드는 법 17세기 네덜란드의 군인이자 군사 기술자인 쿠호른 남작(Menno van Coehoorn)은 경량 구포를 세상에 내놓게 됩니다. 이 구포는 나무로된 포반위에 소형의 포를 올리고 무게는 80kg 정도로 줄였습니다. 그리고 나무로 된 포반에 손잡이가 달린걸로 보아 물론 장거리 이동은 말과 마차를 사용했겠지만 단거리는 나름 도수 운반도 가능 했을것으로 보입니다.

남북 전쟁에서 사용된 Coehoorn 타입의 구포

리인액터 들의 시연에서 발사되는 Coehoorn 타입의 구포


자 그런데 남북전쟁에서 이런 물건이 최초로 사용된건지는 불명확하지만 이때 재미있는 물건들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이런 구포의 포신을 청동이 아닌 나무로 만든 것들이 등장했던 것입니다. 당시 사람들도 발사순간의 압력을 어느정도 견딜 수 있는 실린더 모양의 물건이면 포탄을 날리는데는 지장이 없다는데 생각이 미쳤을 것이고 그러자 상대적으로 비싼 청동보다 지천에 널린 통나무 - 물론 그 중 단단한 놈으로 골라서 사용했습니다 -를 사용해서 구포를 만들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남북 모두 공히 애용했다고 합니다.

당시의 목제 구포, 통나무에 구멍을 파고 쇠테를 감아서 보강

목제 구포 축소 모형을 이용한 발사 시험


조금 사설이 길어졌는데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 박격포란 이름이 붙은 물건이 언제 나왔는지 알아보도록 할까요?

때는 러일전쟁(1904~05), 제1차 세계대전에 앞서 이 전쟁은 기관총으로 보강된 요새화된 진지를 중심으로 처절한 참호전이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이런 참호진지에 당시 포병이 주로 보유하고 있던 탄종인 유산탄(shrapnel)은 별 소용이 없었고, 따라서 적 진지에 최대한 접근해서 다양한 수단 - 물론 사람의 손에 의한 투척도 포함 -에 의한 폭약전이 전개되고 있었습니다.

당시 미국 참관무관이 묘사한 러일 양국의 다양한 폭탄과 투사수단


그런데 여순공방전에서 일본 제3군은 나무로 만든 통을 노끈 등으로 보강한 후 450미터 정도 폭약을 투척할 수 있는 급조 무기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머 남북전쟁의 그 물건에서 직접 영향을 받은건지는 알 수 없지만 밥만 먹고 무기체계만 생각한 사람들이 이정도 생각을 못할리는 없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명칭도 만들어집니다. '적의 진지에 육박해서 포격한다(敵に迫って砲撃する)' 즉, 박격포(迫撃砲)란 명칭이 이때 최초로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박격포란 이름이 붙은 최초의 물건들, 급조 제작된거라 디테일은 조금씩 다릅니다.

이런식으로 운반이 가능, 예나 지금이나 군인들은 고생입니다.

제가 사진은 구하지 못했지만 이런 급조 박격포 중에는 두꺼운 종이로 만든 것도 존재하며, 여순 공방전 뿐 만 아니라 목제 및 지제 박격포 모두 봉천 회전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 그리고 일본 군은 임시급조로 나온 이 무기체계의 가능성을 꽤 높게 평가했지만 강도상의 문제 때문에 역시 포신은 철제로 하는 것이 좋겠다는 결론을 내리게 됩니다. 그 후 일본의 박격포 - 영국 스톡스 박격포 이전 - 개발도 재미있는 부분이 많은데 일단 이는 다음 기회로 미루어야겠군요.

물론 최초의 현대적 박격포는 영국의 스톡스 박격포를 시초로 보아야겠지만 우리가 이런 무기체계에 사용하는 용어인 '박격포(迫撃砲)'는 이런 현지에서 급조제작된 무기에서 유래했다라는 이야기를 끝으로 오늘은 마무리할까 하다가 이왕 이야기 나온 김에 제가 런던 탑(Tower of London)에 갔을 때 찍었던 Coehoorn Mortar 사진 몇장을 추가하겠습니다. 특히 마지막 사진보면 예나 지금이나 사람들 머리 굴리는건 다 거기서 거기구나 하는 생각도 하게됩니다...^^;;



[ 참조 자료 ]

佐山二郎, 日本陸軍の火砲 迫撃砲 噴進砲他, 光人社NF文庫, 13~19p
佐山二郎, 大砲入門, 光人社NF文庫, 87~89p


핑백

  • Orca의 雜想 note : [추가자료] 이런 저런 나무 대포들...^^// 2012-09-23 12:24:07 #

    ... 저번 주에 작성했던 포스팅 박격포(迫撃砲), 그 명칭의 유래는? 에서 최초로 '박격포(迫撃砲)'라는 명칭이 붙은 물건은 러일 전쟁시 일본군이 급조로 만든 목제 대포 였다는 포스팅을 했는데 여러분들께서 좋은 의 ... more

  • Orca의 雜想 note : ②파리의 군사 박물관 - Musée de l'Armée 방문...^^ 2012-10-22 00:26:23 #

    ... 터 파리의 군사 박물관 Musée de l'Armée 에 있었던 재미있었던 어쩌면 '장잉정신'으로 만든것 처럼 보이는 포들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예전 박격포 관련 포스팅에서 사용했던 구포의 이미지가 있었는데, 실물이 여기에 있었군요...만나서 반가웠습니다. 선명하게 찍힌 글자..... 안을 한 번 들여다 보았습니다. 구포 ... more

  • 박격포(迫撃砲), 그 명칭의 유래는? | ㅍㅍㅅㅅ 2014-10-07 08:51:14 #

    ... ;^^;; [ 참조 자료 ] 佐山二郎, 日本陸軍の火砲 迫撃砲 噴進砲他, 光人社NF文庫, 13~19p 佐山二郎, 大砲入門, 光人社NF文庫, 87~89p 원문 : Orca의 雜想 note Orca(http://note100.egloos.com/)중도 보수를 자처하는 직장인. http://note100.egloos.com/ 친구들과 이 글 ... more

덧글

  • momoart 2012/09/16 08:14 # 답글

    첫 사진을 보다가, 박격포와 별 관계 없을지는 몰라도 생긴 모습이 비슷해서 예전에 봤던 이걸 떠올렸네요.
    http://www.uetaya.jp/modules/information/index.php?content_id=3
    手筒花火(테즈츠하나비)라는, 줄을 감은 대나무통에 화약을 채우고 그걸 손에 들고서 발사하는... 불꽃놀이죠.
    영상을 보는 편이 빠를지도요.
    http://www.youtube.com/watch?v=sMrAK5KysCw
  • Orca 2012/09/16 09:59 #

    감사합니다. 제가 가진 책에도 불꽃놀이 발사용 기구와 비슷하다고 되있는데 저런물건이군요.

    그럼 여기서 유래한게 맞는거 같습니다.
  • 문제중년 2012/09/16 09:45 # 삭제 답글

    1. 나무로 포신을 만들어 보자는 것은 대포 역사와 맥을 같이할 정도
    로 오래된 일이었다고 하죠.
    아무래도 금속보다 구하기 쉽고 이걸 다룰 수 있는 사람도 많았던데다
    적당히 보강하면 왠지 쓸만해 보였으니.
    barrel 이란 부분을 진짜로 barrel처럼 만들어보려 한거겠죠.

    2. 나무 박격포는 1차대전중 독일도 써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한때 게릴라가 만들 법한 무기로 거론되기도 하죠.
    물론 요즘은 게릴라들도 1차대전때 이미 했던 것처럼 수도관 따위를
    씁니다.

    3. 남북전쟁중 저런 실제로 발사되는 나무 대포외에 위장용 나무대포
    도 등장하고 이건 퀘이커 건이라 불렸죠. (퀘이커 교도들이 피보는거
    싫어하죠.)
    물론 퀘이커 건은 퀘이크 건과는 다릅니다.

    4. 마지막처럼 다연장 구포를 만들어보자는건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죠.
  • Orca 2012/09/16 10:00 #

    말씀감사합니다.

    요즘은 나무보다 드럼통이나 쇠파이프가 더 흔하고 다루는 사람이 많으니...^^
  • Orca 2012/09/16 10:03 #

    조금더 추가하면 당시 일본군은 대구경 캐논포의 약협이나 대형 구포의 포탄도 이용하려고 했다는군요ㅋ
  • 토나이투 2012/09/16 10:53 # 답글

    미루었던 독일제 박격포를 어서 해야겠군요
    글 잘보았습니다
  • Orca 2012/09/16 13:00 #

    예 나오면 잘 보겠습니다^^
  • 긁적 2012/09/16 11:05 # 답글

    올ㅋ 나무박격포라니 처음 봤어요 ^^ 진짜 압력만 버티면 되니까 포신 수명을 길게 쓸 게 아니면 나무로 해도 될듯. ㄷㄷ.
    예전에 중국 사람들이 드럼통으로 만든 박격포 보고 완전 놀랐는데 이건 또 다른 충격이네요.
  • Orca 2012/09/16 13:01 #

    머 발상은 같은듯합니다.

    근처에 나무가 흔하면 나무로 드럼통이 굴러다니면 드럼통으로ㅎㅎ
  • 플러터샤이 2012/09/16 12:00 # 답글

    나...나무박격포..

    저게 발사되기는 하는군요..
  • Orca 2012/09/16 13:02 #

    머 푸가스 같은 것도 16세기 부터 잘만 사용했으니까요^^
  • 누군가의친구 2012/09/16 14:25 # 답글

    참호전이 고착화된 가운데 니놈들 머리 위로 포탄을 날려주겠다라는 생각에 나온 박격포는 정말 ㅎㄷㄷ 한 놈이죠.

    저때는 종이 말고도 고물상에서 공성용 구포를 구입해서 쓰기까지 했으니 말 다했습니다.

  • Orca 2012/09/16 18:50 #

    보병의 친구로정착됬죠ㅋ
  • rumic71 2012/09/16 18:31 # 답글

    박격포의 명칭은 뿌리를 내렸지만 척탄통은 완전히 잊혀졌죠.
  • Orca 2012/09/16 18:51 #

    척탄통도 나중에 다룰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ㄱㅅ
  • 일화 2012/09/17 00:31 # 답글

    그래서 박격포였던 거군요. 일본에서 나온 말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는데 이렇게 유래를 알게 되니 좋네요. ^^
  • Orca 2012/09/17 07:54 #

    저도 왜 유독 우리나라하고 일본, 그리고 중국(迫击炮)에서는 박격포란 말을 쓰고 있을까 궁금해 했는데 우연찮은 기회에 잘 알아보게 된 것 같습니다...^^
  • 瑞菜 2012/09/17 11:50 # 답글

    그러고보니 일본군이 척탄통을 포함한 박격포 종류 사용을 참 좋아했지요.
  • Orca 2012/09/18 19:02 #

    산포도 꽤 애용한 것 같은데 나중에 다룰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ㅎㅎㅎ
  • 행인1 2012/09/17 13:02 # 답글

    1. Coehoorn 타입의 구포는 우리나라 박물관에도 1문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게 어떻게 들어왔는지는 모른다는...;;;

    2. 철태를 두른 나무대포는 우리나라에서도 사용된 적이 있다고 합니다. 구한말 의병전쟁 시기라는군요.
  • Orca 2012/09/18 19:03 #

    저도 조금 더 찾아보니 나무 대포는 꽤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더군요....사람들 머리굴리는건 다 비슷한 듯 합니다.
  • 스펀지송 2012/09/17 20:28 # 삭제 답글

    한자명으로 박격포는 일본군이 러일전쟁에서 사용한 포에서 유래했다는 말이군요. 재밌습니다. 그런데, 오르카님이 일본어에 능통하시는 거 첨 알았네요. 부럽습니다. 영어, 일어, 다음에는 프랑스도 가능하시나요?
  • Orca 2012/09/18 19:03 #

    프랑스 말은 못해요.....^^;;
  • 니르바나 2013/06/06 18:10 # 삭제 답글

    임진왜란 비격진천뢰..
    이런글은 왜 꼭 국내물건은 빼죠.
  • okna pcv piła youtub 2022/09/18 17:34 # 삭제 답글

    글이 더 자주 올라왔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입력 영역


시계